일반사회24 정치와 법 정치의 의미와 기능 정치란 무엇일까요? 친구들끼리 모여 시험기간에 공부를 하다가 배가 고파서 치킨 한 마리를 시켰다고 가정해봅시다. 치킨 닭다리는 2개인데, 4명의 친구 모두 닭다리를 먹고 싶어 합니다. 일종의 갈등 상황이죠.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가위 바위 보를 하거나 대화와 설득을 통해 닭다리를 먹을 친구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추가로 치킨을 주문하여 닭다리의 개수를 늘릴 수도 있겠죠. 이러한 일은 왜 일어났을까요? 닭다리 부위를 좋아하는 사람 수에 비해 닭다리 조각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닭다리처럼 대부분의 '자원'은 우리사회에서 무한히 존재하지 않습니다. 한정된 자원은 항상 사람들 사이에 갈등을 불러 일으킬 수 밖에 없구요. 이러한 갈등을 조정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우리는 일반적으로 '정치.. 2023. 4. 19. 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와 해결 방안 환경과 자원 문제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거나,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주변 국가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사회 문제를 우리는 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라고 이야기합니다. 세계화가 진전되면서 국경의 의미가 약화되고 국가 간 상호 의존성이 심화됨에 따라 환경 문제, 자원 부족 문제 등이 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로 등장했습니다. 이런 문제들은 특정 국가의 의지와 힘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우며, 현재 세대뿐만아니라 미래 세대에도 치명적 영향을 미친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환경 문제와 자원 문제를 대표적인 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로 꼽을 수 있는데요. 인구 증가와 산업화에 따라 대량 생산과 대량 소비 체제가 사회적 시스템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여기에 자연을 정복 대상으로 삼는 인간 중심적 사고 방식은 환.. 2023. 1. 2. 저출산 고령화, 그리고 다문화적 변화 저출산 고령화의 의미와 영향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어들고 전체 인구에서 노인 인구의 비율이 늘어나는 현상을 우리는 '저출산 고령화' 라고 합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여성의 사회 활동 증가, 결혼과 출산에 대한 가치관 변화, 자녀 양육의 경제적 부담 증가, 의료 기술에 발달에 따른 평균 수명 증가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합계 출산율(여성 한 명이 가임 기간(15~49세)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970년 4.53명에서 점점 줄어들어 1990년 1.47명, 2021년 0.8명으로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05년 9.1%에서 점점 늘어나 2015년 13.1%, 2020년 15.7%를 기록했으며 2030년에는 2.. 2022. 12. 17. 세계화 및 정보화로 인한 사회 변화 세계화의 배경과 영향 세계화는 전 세계가 상호 의존하면서 삶의 공간이 국경을 넘어 전 지구로 확대되는 과정입니다. 교통의 발달로 국가 간 공간과 시간 거리가 축소되면서 다양한 분야에 걸쳐 국경을 뛰어넘는 교류가 확대되었습니다. 인터넷 등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상품 거래가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실시간으로 세계 뉴스를 확인하고 서로가 서로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세계가 더욱 긴밀하게 연결되었습니다. 여기에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으로 무역 장벽이 완화됨에 따라 세계가 거대한 단일 시장 체제로 통합되어 나가는 계기가 마련되었습니다. 경제, 문화, 정치 영역에서 세계화의 영향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경제 영역에서 세계화는 기업에게 상품을.. 2022. 12. 10.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