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현상의 과학적 탐구
과학적 지식이란 개인적 믿음이나 상상과 달리 엄격한 절차와 방법에 따른 체계적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물로 누구나 신뢰할 만한 타당한 지식을 이야기 합니다. 이때 절차와 방법은 누구에게나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어야 하며 체계적 연구의 증거들은 감각기관을 통해 지각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여야 합니다. 이러한 과학적 지식을 얻기 위한 탐구 방법은 크게 양적 연구 방법과 질적 연구 방법으로 구분됩니다.
양적 연구 방법과 그 절차
양적 연구 방법(=실증적 연구 방법)이란 간단히 말해서 경험적 자료를 수량으로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사회 현상을 탐구하는 방법입니다. 양적 연구 방법은 자연 과학의 연구 방법을 사회 현상의 연구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고 전제하며 우리는 이를 '방법론적 일원론' 이라고 표현합니다.
양적 연구 방법의 목표는 사회 현상에 존재하는 일반적 법칙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개념의 조작적 정의 과정을 통해 경험적 자료를 수량으로 측정하고, 통계 기법을 활용하여 이를 분석하는 것이 양적 연구 방법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양적 연구 방법은 연구 주제 선정, 가설 설정,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및 분석, 가설 검증, 결론 도출의 절차를 거칩니다. 연구 주제를 선정할 때는 양적 자료를 활용하여 독립 변인과 종속변인간의 관계를 명확히 드러낼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가설은 연구 주제에 관한 잠정적인 결론으로서 독립 변인과 종속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자의 생각을 문장으로 진술한 것입니다. 연구 진행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하는 단계인 연구 설계 과정에서는 개념의 조작적 정의, 자료 수집 대상 및 방법의 선정 등이 이루어집니다. 양적 연구 방법 절차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개념의 조작적 정의'가 여기서 이루어지는데요. 개념의 조작적 정의란 추상적인 개념을 측정 가능한 구체적인 지표로 규정하는 것으로서 '무엇으로서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하는 활동입니다. 양적 연구 방법의 자료 분석은 보통 수집한 자료를 분류하고 통계 처리를 수행하여 결과를 표나 도표로 제시하는 것으로 끝이 납니다. 가설에서 설정했던 두 변인 간의 관계와 자료 분석 결과 나타난 두 변인 간의 관계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가설의 채택 여부를 결정합니다. 일치한다면 가설 채택(=인용, 수용)이구요, 일치하지 않는다면 가설은 기각됩니다.
양적 연구 방법의 장점으로는 첫째, 연구자의 주관 개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둘째, 정확하고 정밀한 연구가 가능합니다. 셋째, 일반화된 법칙 발견을 통해 사회 현상을 설명하거나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량화가 어려운 인간의 주관적 영역은 탐구하기 곤란하다는 점, 사회 현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어렵다는 점이 양적 연구 방법의 한계로 지적됩니다.
질적 연구 방법과 그 절차
질적 연구 방법(=해석적 연구 방법)이란 연구자의 직관적 통찰을 통해 인간 행위의 이면에 담긴 동기와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질적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방법과 달리 사회 현상을 자연 현상과 본질적으로 다르므로 자연 과학과는 다른 방법으로 사회 현상을 탐구해야 한다고 전제합니다. 우리는 이를 '방법론적 이원론'이라고 표현합니다. 질적 연구 방법의 목적은 인간의 행위에 담긴 동기의 의미의 이해 및 해석입니다. 연구자의 직관적 통찰과 감정 이입을 통해 행위자의 행동, 의미, 행위자가 처한 맥락 속에서 행위를 이해하는 것이 연구 방법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죠. '직관적 통찰'이란 개념을 계속해서 이야기 했는데요, 직관적 통찰이란 상황 전체에 담겨 있는 의미를 꿰뚫어 보면서 의미있는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할 때 인위적인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자의 경험과 지식으로 형성된 통찰력을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질적 연구 절차는 주로 연구 주제 선정, 연구 설계, 자료 수집, 자료 해석, 결론 도출의 과정으로 이루어 진행됩니다. 여기서 핵심은 질적 연구 방법에서 자료 수집과 자료 해석이 무한히 반복된다는 점입니다. 이것을 우리가 질적 연구 방법의 '나선형적 절차'라고 부릅니다. 면접이나 참여관찰을 반복해서 진행하면서 인간 행위와 동기를 더욱 심층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노력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에서도 결론을 도출하지만 연구 대상자의 주관적인 세계에 대한 해석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할 뿐 양적 연구 방법처럼 일반화를 시도하지는 않습니다.
질적 연구 방법의 장점으로는 첫째, 행위자의 주관적 세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둘째, 수치화하기 어려운 영역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연구 과정에 연구자의 주관적 가치가 개입될 가능성이 크고 객관적 법칙을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이 질적 연구의 한계로 지적됩니다.
'일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 수집 방법: 질문지법과 실험법 (0) | 2022.11.25 |
---|---|
사회 현상 탐구 과정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 (0) | 2022.11.24 |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관점 (0) | 2022.11.23 |
과학으로서의 사회학 (0) | 2022.11.22 |
사회학적 상상력 : 커피 한 잔의 사회학 (1) | 2022.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