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
문화 변동이란 문화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문화 변동을 일으키는 요인은 크게 내부적 요인(=내재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외재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문화 변동의 내부적 요인은 다시 발명과 발견으로 나누어집니다. 발명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문화 요소를 만들어 내는 것이고, 발견은 이미 존재하는 사물이나 사실 중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발명은 또 다시 1차 발명과 2차 발명으로 나누어지는데요, 이전에 전혀 없었던 문화 요소나 원리를 새로 만드는 것이 1차 발명, 여기에 변화를 가하거나 응용하여 새로운 문화 요소를 만드는 것이 2차 발명입니다. ) 외부적 요인은 다시 직접 전파, 간접 전파, 자극 전파 3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직접 전파란 사람이 다른 문화와 직접 접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이야기 하며 간접 전파는 책, 영화, 인터넷 등 매체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전파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자극 전파는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에서 아이디어만 얻어 새로운 문화 요소를 발명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한 사회 안에서 발견, 발명 등으로 나타난 새로운 문화 요소로 인해 일어나는 문화 변동의 양상을 문화의 내재적 변동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서로 다른 두 사회가 장기간에 걸쳐 전면적 접촉을 함으로써 변동이 일어나는 것은 외재적 변동 혹은 문화 접변이라고 합니다.
다른 한편, 문화 변동의 양상은 강제적 문화 접변과 자발적 문화 접변으로도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강제적 문화 접변이란 물리적 강제력을 통해 지배 사회의 문화 요소를 피지배 사회의 문화 체계 속에 이식함으로써 나타는 문화 변동을 말합니다. 식민 지배를 당하는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겠죠. 이 경우 문화적 저항이나 복고 운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반대로 자발적 문화 접변이란 두 사회의 지속적 접촉 과정에서 사회 구성원들이 바람직하거나 필요하다고 느껴 스스로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를 받아들임으로써 나타나는 문화 변동입니다.
문화 접변의 결과
두 사화의 문화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문화 접변의 결과는 문화 공존, 문화 동화, 문화 융합,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문화 공존이란 한 사회의 문화 요소에 다른 사회의 문화 요소가 추가로 받아들여져서 두 문화가 고유한 성격을 잃지 않고 평화롭게 함께 존재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우리 나라에 한의원와 서양식 병원이 함께 존재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문화 동화란 외래 문화가 지배적 문화로 자리 잡아 한 사회의 기존 문화 요소가 사라지고 정체성을 상실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백인들이 미국 이주 후 미국에 살던 원주민들의 문화가 사라져 버린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문화 융합이란 두 문화 요소의 성격을 지니면서도 두 문화 요소와는 다른 성격을 지닌 새로운 문화가 등장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미국에서 아프리카 흑인 음악의 리듬과 유럽 백인 음악의 악기가 만나 '재즈'라는 새로운 장르의 음악이 탄생한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문화 변동에 따른 문제와 대처 방안
문화 변동 과정에서 사람들의 삶은 풍요로워지는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여 기존 문화를 대체하려는 집단과 기존 문화를 유지하려는 집단 간에 갈등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또한 급속한 문화 변동으로 기존의 가치 규범이 무너졌으나 새로운 가치 규범이 형성되지 않아 아노미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전에 일탈의 원인으로 '아노미'를 제시한 적이 있었는데요, 여기서는 '머튼의 아노미'가 아닌 '뒤르켐의 아노미'입니다.)
외래 문화가 문화 변동을 주도하는 경우 고유문화의 정체성이 약화되거나 문화 변동을 받아들여야 하는 개인의 정체성에 혼란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관념, 제도 등의 비물질 문화가 의식주, 기술 등의 물질문화의 변동 속도를 따라잡지 못해 부조화가 발생하는 '문화 지체'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문화 지체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사회 구성원들이 기술 등 새로운 물질 문화는 비교적 쉽고 빠르게 수용하지만 새로운 관념이나 제도를 받아들여 본인의 생각을 변화시키는데는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기 때문입니다.
'일반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 (0) | 2022.12.01 |
---|---|
사회 불평등 현상이란 무엇일까 (0) | 2022.12.01 |
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화 (0) | 2022.11.29 |
문화의 의미와 속성, 그리고 이해의 태도 (0) | 2022.11.28 |
일탈 행동은 무엇이며 왜 발생할까 (0) | 2022.11.28 |
댓글